Ι 뜻과 날씨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에 속하며, 양력 2월 4일에 속하며, 음력으로는 정월에 듭니다.
하지만 어떤 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드는 때가 있는 데 이를 재봉춘이라고 합니다.
봄에 접어든다는 뜻이지만, 날씨는 많이 쌀쌀한 겨울 날씨입니다. 하지만 온난화 시대인 요즘에는
입춘에 따뜻한 날이 잦아들고 있습니다.
Ι 풍속
옛 선조들은 입춘을 한 해의 시작으로 삼아 입춘이 접어들면 한 해의 소망을 담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였습니다.
그 글귀가 바로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입춘대길(立春大吉)인데요, 이를 입춘축(立春祝)이라 합니다. 입춘을 맞아
축하 · 기원 · 경게 등의 내용이 담긴 글이라는 뜻입니다. 정확하게는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는 뜻입니다.
궁중에서도 문신들이 지은 신년 축시 중에 잘 쓴 것을 골라 대궐에 붙였는데, 이를 춘첩자(春帖子)라고 합니다. 선정된 시구는 연꽃이 그려진 종이에 옮겨 써져 붙여졌다고 합니다.
입춘은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는 의미에서 다양한 의례가 행해졌습니다. 입춘하례(入春賀禮)는 입춘날 백관이 대전에 가서 입춘절을 축하하면 임금이 그들에게 춘번자(비단을 잘라서 만든 작은 표기)를 주고 이 날 하루 관리에게는 휴가를 준 예식입니다.
또 궁중의 역귀를 내쫓는 의미로 토우를 만들어 문 밖에 내놓는 토우내기 등의 풍습이 있었습니다.
민간에서는 나무로 만든 소를 관청으로부터 민가의 마을 가지 끌고 나와 돌아다니며 풍년을 기원하는 의례인 목우(木牛)와 무당들이 농사짓는 과정을 흉내는 굿놀이인 입춘굿 등을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적선 공덕행(積善功德行)이라 하여 밤중에 몰래 냇물에 징검다리를 놓거나, 거친 길을 곱게 다듬거나 하는 등
입춘에 되도록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되는 좋은 일을 하면 복을 받는다는 신앙에서 선행을 하는 풍속이 있었습니다.
또 아홉 차리라고 하여, 자신이 맡은 일을 아홉 번씩 하는 풍속이 있었습니다.
예전에는 10을 완전수로 보았는데 아홉 차리는 너무 과하지도 부족하지 않게 계속해서 이어갈 수 있도록 기운을 북돋아주는 의식이라고 합니다.
농가에서는 보리뿌리를 캐어 한 해 농사를 점쳤습니다. 보리뿌리가 세 가닥 이상이면 풍년, 두 가닥이면 평년, 한 가닥이면 흉년의 징조라 여겼습니다. 또한 오곡의 곡식을 솥에 넣고 볶아 가장 먼저 튀어 오르는 곡식이 그 해 풍작을 이룬다고 믿었습니다. 이러한 농경점이 점쳤던 이유는 그만큼 입춘을 농사에 중요한 시기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입춘이 되면 집안 아녀자들은 집안 먼지를 털어내고, 남정네들은 농기구를 손질하여 한 해 농사를 준비하였습니다.
Ι 음식
궁중에서는 오신반(五辛盤)이라 하여 다섯 가지 매운맛이 나는 채소(움파·산갓·당귀싹·미나리 싹·무싹)로 만든 새 봄의 생채요리를 만들어 먹었으며 민가에서는 세생채(細生菜)라 하여 파, 겨자, 당귀의 어린싹으로 만든 요리를 이웃과 나눠먹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특히 함경도에서는 입춘이 되면 명태순대를 만들어 먹었다고 합니다.
Ι 속담
입춘은 절기로서는 봄에 접어들었지만 아직 날씨는 겨울 못지않으므로, 이와 관련된 속담들이 있습니다.
1. 입춘 추위에 김칫독 얼어 터진다.
2. 2월에 물 사발이 얼어 깨진다.
3. 입춘서 거꾸로 붙였다.
4. 봄이 왔는데 봄 같지 않다.(春來不似春)
5. 가게 기둥에 입춘이라
※봄의 다른 절기들
청명
24절기 청명을 알아보자 - 뜻과 날씨, 풍속, 음식, 속담 등
Ι 뜻과 날씨 청명(靑明)은 24절기 중 다섯 번째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보통 양력 4월 5일 또는 4월 6일 경이됩니다. 단어 뜻 그대로 날씨가 매우 쾌청하고 구름 한 점 없는 깨끗한 날씨를 자랑합
yizaggaya.tistory.com
곡우
24절기 곡우를 알아보자 - 뜻과 날씨, 풍속, 속담 등
Ι 뜻과 날씨 곡우(穀雨)는 24절기 중 여섯 번째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양력 4월 20일에 해당됩니다. 곡우는 '곡식의 싹을 틔우는 봄빛'이란 뜻으로, 농본 사회에서 곡우는 절대 없어서는 안 될
yizaggaya.tistory.com
경칩
24절기 경칩을 알아보자 - 뜻과 날씨, 풍속, 음식, 속담 등
Ι 뜻과 날씨 경칩은 24절기 중 세 번째에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양력 3월 5일에 해당됩니다. 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동물들이 활동하는 시기로, 특히 개구리가 잠에서 깨었다 하여 계칩이라
yizaggaya.tistory.com
우수
24절기 우수(雨水)를 알아보자! 뜻과 날씨,풍속,음식, 속담 등
Ι 뜻과 날씨 눈이 녹아 비가 된다는 뜻의 우수는 24절기 중 2번째 절기이며, 양력 2월 19일 또는 20일 , 음력으로는 정월에 듭니다. 낮에는 얼음이 녹아 초목이 싹트고 따스한 날씨를 보이지만, 밤
yizaggaya.tistory.com
입춘
24절기 입춘(立春)을 알아보자! 뜻과 날씨,풍속,음식, 속담 등
Ι 뜻과 날씨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에 속하며, 양력 2월 4일에 속하며, 음력으로는 정월에 듭니다. 하지만 어떤 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드는 때가 있는 데 이를 재봉춘이라고 합니다. 봄
yizaggaya.tistory.com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