Ι 뜻과 날씨
경칩은 24절기 중 세 번째에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양력 3월 5일에 해당됩니다.
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동물들이 활동하는 시기로, 특히 개구리가 잠에서 깨었다 하여 계칩이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그만큼 기온이 따뜻해서겠죠? 실제로 경칩 무렵에 이동성 고기압과 기압골이 주기적으로 통과하며 기온을 상승시킵니다. 버드나무 가지가 파래지기 시작하고 냉이와 같은 봄나물 또한 머리를 내밀기 시작합니다.
또한 보리, 밀, 시금치 등 월동 작물들이 생육을 개시하는 것도 이 경칩 때입니다.
Ι 풍속
우리 조상들은 경칩을 농사를 개시하는 중요한 시기로 여겨 이와 관련된 적전(籍田)과 선농제(先農濟) 같은 의식들이 있었습니다. 적전은 임금이 직접 밭을 갈아 백성들에게 보였던 의례였으며, 선농제는 농사를 가르쳤다는 신농씨(神農氏)와 후직 씨(后稷氏)에게 임금이 제사를 지내던 의식을 말합니다.
또한 경칩 이후 갓 나온 벌레나 풀을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 불을 놓지 말라는 금지령을 내리기도 했다고 합니다.
농부들도 본격적으로 바빠지기 시작하는데요, 겨우내 쌓인 인분을 논밭에 뿌리고, 거름을 주어 쟁기로 논갈이를 시작합니다.
또 이 무렵엔 농경의례인 머슴날이라는 풍습이 있었다 합니다. 농사일이 시작되면, 머슴이 한 해 고생할 생각에 구슬피 울었다 하는데요, 머슴들에게 위로하는 차원에서 술과 떡을 빚어 먹게 하여 격려와 위로를 건넸다고 합니다. 노비들에게 마냥 박하지만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풍습이네요.
또 경칩일에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하여 집안의 담을 쌓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벽을 미리 발라 집안에 빈대를 없애려는 의도입니다. 이는 농번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엔 집안일을 제대로 살필 수 없으니 사전에 대비하는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Ι 음식
산이나 논에 물이 고인 곳을 찾아다녀 개구리, 도롱뇽 알을 먹었는데, 허리 통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믿어 먹었다고 합니다.
또한 단풍나무, 고로쇠나무 수액을 먹었는데, 이는 수액이 위장병이나 성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네요.
또한 냉이, 달래, 더덕 등도 이 때 제철이라 즐겨 먹었다고 합니다.
Ι 속담
1. 경칩 지난 게로군
2. 경칩이 되면 삼라만상(森羅萬象)이 겨울잠을 깬다
※봄의 다른 절기들
청명
24절기 청명을 알아보자 - 뜻과 날씨, 풍속, 음식, 속담 등
Ι 뜻과 날씨 청명(靑明)은 24절기 중 다섯 번째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보통 양력 4월 5일 또는 4월 6일 경이됩니다. 단어 뜻 그대로 날씨가 매우 쾌청하고 구름 한 점 없는 깨끗한 날씨를 자랑합
yizaggaya.tistory.com
곡우
24절기 곡우를 알아보자 - 뜻과 날씨, 풍속, 속담 등
Ι 뜻과 날씨 곡우(穀雨)는 24절기 중 여섯 번째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양력 4월 20일에 해당됩니다. 곡우는 '곡식의 싹을 틔우는 봄빛'이란 뜻으로, 농본 사회에서 곡우는 절대 없어서는 안 될
yizaggaya.tistory.com
춘분
24절기 춘분을 알아보자 - 뜻과 날씨, 풍속, 음식, 속담 등
Ι 뜻과 날씨 춘분은 24절기 중 네 번째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보통 양력 3월 21일 경이됩니다. 겨울 기온이 완전히 가시고 봄이 된다는 뜻을 지니고 있어 이때가 완연한 봄이 되었음을 일컫는
yizaggaya.tistory.com
우수
24절기 우수(雨水)를 알아보자! 뜻과 날씨,풍속,음식, 속담 등
Ι 뜻과 날씨 눈이 녹아 비가 된다는 뜻의 우수는 24절기 중 2번째 절기이며, 양력 2월 19일 또는 20일 , 음력으로는 정월에 듭니다. 낮에는 얼음이 녹아 초목이 싹트고 따스한 날씨를 보이지만, 밤
yizaggaya.tistory.com
입춘
24절기 입춘(立春)을 알아보자! 뜻과 날씨,풍속,음식, 속담 등
Ι 뜻과 날씨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에 속하며, 양력 2월 4일에 속하며, 음력으로는 정월에 듭니다. 하지만 어떤 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드는 때가 있는 데 이를 재봉춘이라고 합니다. 봄
yizaggaya.tistory.com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