Ι 뜻과 날씨
곡우(穀雨)는 24절기 중 여섯 번째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양력 4월 20일에 해당됩니다.
곡우는 '곡식의 싹을 틔우는 봄빛'이란 뜻으로, 농본 사회에서 곡우는 절대 없어서는 안 될 시기입니다.
바로 비가 내리는 시기로 나라에서는 이 날 농민들에게 벽지를 나눠주고 벼농사의 파종이 있는 날이라 하여 죄인도 잡아가지 않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곡우 낙종(穀雨落種)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 시기에 씨를 뿌리면 온갖 곡식을 싹트게 한다는 뜻으로, 곡우가 오면 본격적인
농사철에 접어들게 됩니다.
Ι 풍속
논농사 중 으뜸인 볍씨를 뿌리는 때가 바로 곡우 때라고 합니다. 겨우내 소중히 보관해 온 볍씨를 소금물에 소독하고
알복이 실하지 않아 물에 뜨는 가벼운 것은 건져내는 여과 작업을 거친 후, 못자리를 합니다.
목화씨를 비롯해 수수, 콩 등의 파종을 시작으로 농부들은 보리밭을 매고 논에 거름을 내며, 두음이나 퇴비도 충분히 마련해 둡니다.
곡식의 성장기틀이 되는 이때를 놓치지 않게 하기 위해 농가의 손길은 그야말로 쉴틈이 없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볍씨를 대하는 자세도 남달랐는데요, 볍씨를 담갔던 가마니에 솔가지(꺾어서 말린 소나무 가지)를 덮어 악귀를 쫓고 초상집이나 궂은 일이 있는 집에 다녀온 사람은 볍씨를 구경조차 못하게 했습니다.부정한 기운이 들어간 사람이 볍씨를 보거나 만지면 농사를 망친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또 볍씨를 담근 항아리에 꿈줄을 매고 밤에 고사를 지내거나 특정한 시간을 피해 볍씨를 담그기도 했습니다.그리고 곡우물이라 하여 깊은 산속에 있는 나무의 수액을 약수로 마시는 풍속이 있었으며, 곡우 사리라 하여 이맘때쯤에 잡히는 조기를 가장 으뜸으로 쳤다고 하네요.
Ι 속담
1.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가 마른다.
2.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3. 곡우에는 못자리를 해야 한다.
※봄의 다른 절기들
청명
춘분
경칩
우수
입춘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