Ι 뜻과 날씨

 

 

 

소한은 24절기 중 23번째 해당되는 절기이며, 음력으로는 12월, 양력으로는 1월 5일 경에 해당됩니다. 

뜻은 작은 추위이지만, 정작 소한에는 정초 한파()가 강하게 몰려오는 시기입니다.

우리나라와는 맞진 않지만, 옛날 중국 사람들은 소한부터 대한까지 15일을 5일씩 3번으로 끊어 나누었는데, 이를 삼후(三候)라고 합니다.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고, 중후(中候)엔 까치가 집을 짖기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꿩이 운다라고 기술하였습니다. 

시기적으로 보면 소한보다 대한이 더 추워야하지만, 우리나라에선 소한이 대한보다 더 춥습니다.

 

 

 

 

Ι 생활

 

 

 

소한엔 맹렬한 추위가 지속되기 때문에 특별한 풍습이나 생활 방식은 없습니다. 눈이 많이 내리는 지방에서는 문밖 출입이 어려우므로 땔감과 먹을거리를 집안에 충분히 비치해 두어 입춘(入春)이 오기 전까지 약 한 달간의 혹한기를 이겨냅니다. 

 

 

 

Ι 음식

 

 

 

아무래도 추운 겨울이다 보니 맹추위에 견디기 위한 여러 가지 음식들을 먹었는데요, 분류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제철 음식 : 귤, 고구마

 

· 요리 : 황태찜 , 굴죽, 호박죽, 미역국

 

· 차: 생강차, 유자차 

 

 

 

Ι 속담

 

1. 대한이 소한 집에 갔다 얼어 죽었다

 

대한보다 소한 날씨가 더 춥다는 것을 표현한 말입니다. 비슷한 말로 젊은 추위가 늙은 추위 뺨을 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2. 소한의 추위는 꾸어다가도 한다.

 

매서운 소한의 추위를 이겨내자는 의미입니다. 어떠한 역경이라도 이겨낼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