Ι 뜻과 날씨
눈이 녹아 비가 된다는 뜻의 우수는 24절기 중 2번째 절기이며, 양력 2월 19일 또는 20일 , 음력으로는 정월에 듭니다.
낮에는 얼음이 녹아 초목이 싹트고 따스한 날씨를 보이지만, 밤에는 기온이 뚝 떨어져 간혹 눈이 쌓일 때도 있습니다. 또 봄비가 내릴 때도 있습니다.
또 이 시기에는 건조한 날이 많은데 이때 내리는 눈을 봄눈(春雪) , 또는 복눈(福雪)이라고 해 길조, 풍년의 징후로 여기곤 했습니다.
Ι 풍속, 음식
농한기의 마지막 달인 우수 즈음에 우리 조상들은 장을 담갔습니다. 장은 담그는 계절에 따라 정월장, 이월장, 사월 상이라 불렸는데, 장이 상할 염려가 없는 최적의 날씨인 이 무렵에 담긴 정월장을 최고로 여겼습니다.
이 무렵의 세시풍속으로 설날과 정월 대보름이 있습니다. 정월 대보름에 밤이나 호두, 땅콩 등 견과류를 깨먹는 풍속인 부럼깨기가 있죠 , 이 부럼깨기는 부스럼이 걸리지 않는다고 여겨 지금까지 내려오는 풍속 중 하나입니다.
또 오곡밥을 지어 먹기도 했습니다. 오곡은 찹쌀 · 차조 · 붉은팥 ·찰수수 ·검은콩등다섯가지 음식을 곡식으로 지은 밥으로, 조상들은 사람들이 오곡밥을 얻어먹으러 많이 와야 일꾼이 많이 생기고 풍년이 든다고 믿어,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기도 했습니다.
우수에는 농번기의 준비단계로, 농기구 등을 갈며 한 해 농사를 준비하고, 밭두렁을 태웁니다. 이는 둑이 무너지는 것을 많막고, 병충해를 없애 보다 많은 수확을 하기 위한 풍습입니다.
Ι 속담
추운 날씨가 누그러져 봄기운이 돌고 초목이 싹튼다는 내용의 속담들로, 아래와 같습니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
우수 뒤에 얼음같이
※봄의 다른 절기들
청명
곡우
춘분
경칩
입춘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