Ι 뜻과 날씨
춘분은 24절기 중 네 번째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보통 양력 3월 21일 경이됩니다.
겨울 기온이 완전히 가시고 봄이 된다는 뜻을 지니고 있어 이때가 완연한 봄이 되었음을 일컫는 절기이기도 합니다.
이때 태양은 춘분점, 즉 지구의 중심선인 적도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면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집니다.
춘분부터 태양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하지까지 낮이 길어지기 시작합니다.
춘분부터 약 20여 일은 기온 상승이 가장 큰 때이고, 그리하여 춘분을 두고 "천하의 만민이 모두 농사를 시작하는 달"
이라 불렸다고도 합니다. 춥지도 덥지도 않아 농사일 하기에 적합한 시기입니다.
농가에서는 파종할 종자의 씨앗을 고르고, 천수답에 물을 대기 위해 물꼬를 손 봅니다.
또한 밭두렁에 말뚝을 박고, 과수에 가지치기를 하는가 하면 담을 고치며 겨우내 미루어두었던 집안 곳곳을 손보기 시작합니다.
여기에 제비가 돌아오고 벚꽃이 피며, 산수유가 만발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Ι 풍속
춘분을 한 해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시기를 삼았던 것만큼, 춘분의 날씨로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점쳤습니다.
해가 뜰 때 정동(正東)쪽에 푸른 구름 기운이 있으면 보리 풍년이 들고, 서풍이 불면 보리가 귀하며, 남풍이 불면 오월 전에는 물이 많고 오월 뒤에는 가물며, 북풍이 불면 쌀이 귀하다고 여겼습니다.
고려 시대에는 얼음을 꺼내 제사를 지냈다 하며, 조선시대에는 춘분 때 관리들에게 하루짜리 휴가를 주기도 했습니다.
춘분에 비가 오면 환자가 드물었다고 하며, 해가 뜰 때 동쪽에 푸른 기운이 감도는 구름이 있으면 그 해 보리농사는 풍년이 들었다고 합니다.
Ι 음식
춘분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나이떡이 있습니다. 송편과 유사하게 생겼는데 온 식구가 모여앉아 나이 수대로 떡을 먹습니다. 어린아이들은 크게 빚어서, 어른들은 작게 빚어서 나이 수만큼 먹습니다. 특히 양반들은 마을의 머슴들을 불러 모아 일 년 농사를 부탁하며 나이떡을 나눠 먹어 머슴 떡이라고도 불렀다고 합니다.
나이떡은 나눠먹지 않고 혼자 다 먹어야 일년 내내 굶지 않는다는 설이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볶은콩도 이 시기에 먹었는데요, 이 볶은 콩을 먹음으로써 쥐와 새가 사라져 곡식을 축내는 일이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영양분 가득한 봄나물을 먹고 힘을 내서 농사를 잘 짓자는 의미를 가졌다고 합니다.
Ι 속담
1. 덥고 추운 것도 추분과 춘분까지다
-> 춘분이 지나면 날씨가 따뜻해진다는 의미입니다.
2.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3. 이월 추위에 김장독 깨진다
-> 꽃샘추위를 일컫는 말로, 춘분의 시기에도 종종 추웠음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실제로 춘분을 전후로 고기잡이 배를 타고 멀리 가지 않았다고 하네요.
4. 춘분에 밭을 갈지 않으면 1년 내내 배가 고프다
-> 춘분을 알찬 결실을 맺기 위한 근면과 성실의 실천의 자세를 가다듬는 계기로 삼았다는 뜻이 빈다.
※봄의 다른 절기들
청명
24절기 청명을 알아보자 - 뜻과 날씨, 풍속, 음식, 속담 등
Ι 뜻과 날씨 청명(靑明)은 24절기 중 다섯 번째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보통 양력 4월 5일 또는 4월 6일 경이됩니다. 단어 뜻 그대로 날씨가 매우 쾌청하고 구름 한 점 없는 깨끗한 날씨를 자랑합
yizaggaya.tistory.com
곡우
24절기 곡우를 알아보자 - 뜻과 날씨, 풍속, 속담 등
Ι 뜻과 날씨 곡우(穀雨)는 24절기 중 여섯 번째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양력 4월 20일에 해당됩니다. 곡우는 '곡식의 싹을 틔우는 봄빛'이란 뜻으로, 농본 사회에서 곡우는 절대 없어서는 안 될
yizaggaya.tistory.com
경칩
24절기 경칩을 알아보자 - 뜻과 날씨, 풍속, 음식, 속담 등
Ι 뜻과 날씨 경칩은 24절기 중 세 번째에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양력 3월 5일에 해당됩니다. 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동물들이 활동하는 시기로, 특히 개구리가 잠에서 깨었다 하여 계칩이라
yizaggaya.tistory.com
우수
24절기 우수(雨水)를 알아보자! 뜻과 날씨,풍속,음식, 속담 등
Ι 뜻과 날씨 눈이 녹아 비가 된다는 뜻의 우수는 24절기 중 2번째 절기이며, 양력 2월 19일 또는 20일 , 음력으로는 정월에 듭니다. 낮에는 얼음이 녹아 초목이 싹트고 따스한 날씨를 보이지만, 밤
yizaggaya.tistory.com
입춘
24절기 입춘(立春)을 알아보자! 뜻과 날씨,풍속,음식, 속담 등
Ι 뜻과 날씨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에 속하며, 양력 2월 4일에 속하며, 음력으로는 정월에 듭니다. 하지만 어떤 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드는 때가 있는 데 이를 재봉춘이라고 합니다. 봄
yizaggaya.tistory.com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