Ι 뜻과 날씨

 

 

입동은 24절기 중 19번째에 해당되는 주기로, 겨울이 시작됨을 의미하며, 날짜상으로 11월 7일 또는 11월 8일입니다.

입동을 딱히 명절로 시작하지 않지만 이 시기에 접어들면 사람들은 겨울을 준비하기 위한 채비를 하기 시작합니다.

우선 김장을 담그는 시기로 아주아주 유명하죠. 옛날에는 동절기에 딱히 먹을만한 채소나 과일이 재배되지 않았기 때문에 김치야말로 영양분을 섭취하기에 적합한 음식이었죠. 

 

 

김장은 입동 전후로 하여 5일 내외에 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이 시기를 놓치면 추운 날씨에 의해 배추가 얼어 좋은 맛을 내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지구 온난화 등으로 요즘에는 김장 시기를 맞추는 게 조금 어렵긴 하지만 입동을 놓치지 말고 하는 게 그래도 좋겠죠?

본격적으로 날씨가 제법 쌀쌀해지는 시기이므로 동면(冬眠)을 하는 동물들은 월동 준비를 하고, 나뭇잎과 가지는 메말라가는 걸 쉽게 볼 수가 있습니다. 

 

 

Ι 풍속

 

 

 

또한 동국세시기(조선 후기 홍석모가 연중행사와 풍속들을 정리하고 설명한 세시풍속 집)에 따르면 입동이 접어들면 "내의원에서는 10월 초하루부터 이듬해 정월까지 발효우유를 만들어 임금에게 바친다. 또 기로소에서도 발효우유를 만들어 여러 기로소 신하들을 봉양하다가 정월 보름에 가서 그친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입동(음력으로 10월)부터 이듬해 정월까지 발효우유를 만들어 먹었다는 얘긴데요, 추운 겨울날을 나기 위한 월동 방법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기로세련계도 - 출처 : 국립민속박물관

 

궁중에서 우유를 마셨다면 민간에서는 경로잔치인 '치계미'가 있었는데요, 본래 치계미는 사또의 밥상에 올린 반찬값으로 받는 뇌물이란 뜻인데, 마을 웃어른들을 사또처럼 귀하게 대접하란 뜻으로 올리는 잔치입니다.

 

또한 입동 전후 보리의 잎을 보고 풍년의 여부를 예측하는 입동곡이라는 농경점(店)과 날씨를 예측하는 날씨점(店)이 있었습니다.

 

충청도에서는 "입동 전 가위 보리"라는 말이 있는데, 보리 잎이 가위처럼 두 개가 나야 그 해에 풍년이 든다고 하네요.

또 경남 여러 지역에서는 입동에 갈까마귀(갈까마귀)가 날아온다고 하는데, 머리 부분에 보랏빛이 나는 새입니다. 이 갈가마귀에 뱃바닥이 흰색이면 이듬에 목화 농사가 잘 될 것이라고 점쳤다고 합니다.

 

                                           

갈까마귀 : 출처 - 중국임업출판사

 

또한 제주도에서는 입동날 날씨가 따뜻하지 않으면 그 해 겨울바람이 심하게 불었다고 하고, 전남에서는 입동 때의 날씨를 그 해 겨울 추위를 예측하는 데 이용했는데, 대체로 입동에 날씨가 추우면 그 해 겨울이 크게 추울 것이라 믿습니다.

 

 

 

 

 

 

 

Ι 음식

 

 

 

형편이 어려운 노인들에게 도랑탕이라는 추어탕 비슷한 음식을 대접했습니다. 추어탕에는 각종 무기질, 칼슘 등이 풍부하여 대표적인 보양식으로 사랑받고 있죠.

 

 

또한 팥시루떡을 빼놓을 수가 없습니다. 잡귀를 쫓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입동엔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고, 곳간이나 외양간 등에서 고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고사가 끝난 후에는 이웃들과 시루떡을 나눠 먹었다고 하네요.

 

 

 

 

 

 

 

홍합은 11월 대표적인 수산물로 유명하고 특히 입동 전후에 많이 생산이 되어 입동 대표 음식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담백한 맛이 좋아 담치라고도 불리며, 날 것으로 먹지 않고 찌거나 꼬지에 말려서 보관하며, 말린 홍합은 국물을 내거사 조림 등으로 활용됩니다. 참고로 홍합은 노화방지와 항암효과에 좋습니다.

 

 

또한 맛있게 잘 담근 김치와 찰떡궁합인 수육도 잊을 수 없네요 ^^

 

 

Ι 속담

 

 

 

1. 입동이 지나면 김장도 해야 된다

 

아무래도 입동하면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것이 김장이다 보니 이러한 속담이 생기지 않았나 싶네요.

입동이 지나면 김장철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2. 입동 전 보리씨에 흙먼지만 날려주소

 

늦어도 입동 전에 보리를 파종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늦어지면 땅이 얼어 씨앗을 심을 수가 없게 되니깐요.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