Ι 뜻과 날씨

 

대설은 24절기 중 21번째에 해당되는 절기로 양력으로 12/7 ~8일경에 찾아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1년 중 가장 많은 눈이 내린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이는 중국 화북 지방의 기후를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대설에 반드시 우리나라에 많은 눈이 내린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Ι 풍속

 

 

 

 

대표적인 동한기(冬寒其)이기 때문에, 따뜻한 구들방에 앉아 고구마나 밤 등을 구워 먹으며 옹기종기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이 시기 선조들의 풍습이었습니다.

마냥 농사일에 손 놓고 있을 수는 없어서, 고추장과 된장의 원료가 되는 발효 식품인 메주를 쑤어 소작료를 지불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마당에 멍석과 이엉을 깔아, 종자 씨앗을 관리하여 이듬 해 지을 농사에 대비하기도 하였습니다.

 

 

 

 

 

 

 

 

Ι 음식

 

 

 

겨울철 대비하기 위해 입동 때 만들어 놓은 김치와 메주를 이용한 된장 등이 대표적 음식입니다. 

또한 이한치한(以寒治寒)으로써 시원한 동치미나 냉면을 즐겨먹으며 심심한 입을 달래곤 하였습니다.

 

 

 

 

Ι 속담

 

 

1. 눈은 보리의 이불이다.

 

눈이 많이 내리면 눈이 보리를 덮어 보온 역할을 하므로 동해(害 ; 얼음의 융해로 인한 지면이나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 동상(凍上)과 비슷함)를 방지하고 풍년이 든다는 의미입니다.

 

 

2. 겨울 보리밭은 밟을수록 좋다.

 

겨울에 보리밭을 밟으면, 흙 사이로 찬 공기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보온 효과에 좋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