Ι 뜻과 날씨

 

소설은 24절기 중 20번째에 해당되는 주기로, 한자 뜻풀이를 하자면첫눈이 시작된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소설에 첫눈이 많이 내렸다고 하네요.

날짜상으로 11월 22일 또는 23일에 해당되며,  대설(大雪)은 소설 약 15일 뒤에 찾아옵니다.

소설까지는 그래도 따뜻한 햇빛이 남아 있어 작은 봄, 즉 소춘(小春)이라고도 합니다. 

음력으로 10월 하순에 접어들기 때문에 온도가 급강하는 때이기도 합니다. 

 

 

 

 

 

 

 

소설에 접어들면 농가에서는 본격적으로 대대적인 월동준비를 하기 시작합니다. 입동 때 다하지 못한 김장을 하기도 하고, 시래기를 엮어 말리거나, 무말랭이 , 호박을 썰어 말리고,  소 먹이로 사용할 볏짚을 모아둡니다. 

 

 

또한 이때에는 메주를 쓸었습니다. 겨울이 되면 먹을거리가 마땅치 않으므로 김장과 더불어 겨울을 나기 위한 월동준비라고 볼 수 있겠네요.

 

 

 

 

 

 

Ι 풍속

 

 

삼현육각 - 출처 : 문화재청 국가유산포털

 

농가에서는 삼현육각(피리2, 해금, 대금, 북, 장구 등 6개의 악기로 편성, 선율 악기가 3개여서 3현이고, 6개의 악기를 사용한다고 해서 육각이라고 함)이라고 불리는 놀이패를 초청해 흥을 즐기고 한 해 농사의 수고를 마무리하는 장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음력 10월에는 일하지 않고도 먹을 수 있는 달이라 하여 공달, 으뜸가는 달이라 하여 상달이라고도 불렸는데, 상달고사라하여 집안의 안녕과 행복을 가신들에게 기원하는 의례가 행해졌습니다.

 

 

 

 

 

 

 

 

Ι 속담

 

 

 

1.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

 

소설에 날씨가 따뜻하면 보리가 못 자라 겨울을 나기가 힘들기 때문이며, 그만큼 우리 선조들의 농본 정신이 잘 깃들여 있는 말이기도 합니다. 어쩌면 한 해 농사의 시작은 소설 때라고도 할 수도 있겠네요. 

소설에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 추위를 손돌 추위라 하는데, 뱃사람들은 소설 무렵에는 배를 잘 띄우려 하지 않습니다.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지는데요, 

 

조선 시대 임금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강화도로 피나려 하는데, 뱃사공 중에 손돌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인조가 보아하니 손돌이 자꾸 일부러 물살이 급한 길을 골라 노를 저으려 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에 분노한 인조는 손돌을 참수하라고 하였고, 억울한 손돌은 하소연하였지만 소용이 없음을 알고 바가지를 하나 내놓으면서 바가지가 가는 길을 따라 뱃길을 잡으라고 하였습니다. 점점 물살은 급해지고 일행은 손돌이 시킨 대로 하니 무사히 도착하였습니다. 인조는 그제야 손돌의 충심을 알고 죽인 것을 후회하였고, 지금의 경기도 김포에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장지를 정해 후하게 장사를 지내주었고, 이때가 음력 10월 20일이었다고 합니다. 마침 바람이 몹시 세차게 불었는데, 이때부터 소설에 부는 바람을 손돌 바람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2. 초순의 홑바지가 하순의 솜바지로 바뀐다

 

소설의 추운 날씨를 잘 대변한 말로써, 급격히 추워지는 소설의 기후 특성을 나타내주고 있죠.

 

 

 

 

 

 

 

 

3. 눈 보리에 이불이다

 

눈이 보리를 덮어 보온 역할을 함으로써 보리가 잘 자란다는 뜻입니다.  소설에 내리는 첫눈, 즉 초설(初雪)을 옛 선조들이 기다린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