Ι 뜻과 날씨
24절기 중 아홉 번째 해당되는 절기로, 시기는 양력 6월 6일경입니다. 본격적인 여름의 시작과 함께 바쁜 농번기로 접어드는 절기인 망종 벼나 밀, 보리같이 까끄라기, 즉 수염이 잇는 곡식의 종자를 거두고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입니다.
'보리는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다'라는 말처럼 이 무렵은 모내기와 보리베기의 적기로, 농번기로 접어드는 시기입니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망종까지는 보리를 베야 논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할 수 있기 때문인데,
망종을 넘어서 벼를 베개 되면 벼가 바람에 꺾일 위험이 있어 이를 조심하라는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
보리수확과 타작이 끝나면 대대적인 모내기가 시작이 됩니다. 특히 보리농사가 많은 남쪽 지방은 모심기까지 겹쳐 화장실 갈 시간도 없을 정도로 바쁘다는 의미로 '발등에 오줌 싼다'라는 속담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Ι 풍속
옛 조상들은 망종에 천둥이 치면 한해 농사가 시원치 않고 불길하다고 여겼습니다. 또한 우박이 내리면 좋은 징후이며 망종 날 보리그스름을 먹으면 이듬해 보리농사가 풍년이 들고 밤이슬을 맞힌 보리를 먹으면 무병하다는 등의 다양한 속신이 전해져 오고 있습니다.
또한 망종 날에 하늘에서 천둥이 요란하게 치면 불길하고, 망종이 드는 시기가 너무 빨리 들어도, 늦게 들어도 안되며 음력 4월 중순에 들어야 좋다는 점괘가 있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 초 봄에 심어둔 감자를 캐기 시작하는데, 보릿고개를 힘겹게 넘긴 후 곡식 걱정을 이 감자 덕분에 한 시름 더는 시기입니다.
Ι 음식
보리를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보리밥·보리떡을 많이 먹었다고 합니다. 소화가 잘되고 몸에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어 무더위에 아주 적격인 음식입니다. 또 감자를 수확하여 햇감자로 많이 먹었으며, 오디와 매실도 수확하는 시기입니다.
오디는 영양이 풍부하고 당도가 높고, 특히 덜 익은 오디는 당뇨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여름의 다른 절기들
대서
하지
입하
소만
소서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