Ι 뜻과 날씨

 

동지는 너무나도 유명한 24절기 중 하나죠? 그렇습니다, 1년 중 해가 가장 짧고 달이 가장 긴 달이죠. 

24절기 중 22번째 절기에 해당되며, 음력으로는 11월, 양력으로는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입니다. 

한자에서 알 수 있듯이, 동지에 접어들면 본격적으로 겨울이 시작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동지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데, 동짓날 신발 그림자가 가장 길어진다고 하여 이장(履長) , 해가 길어지기 시작한다고 하여 장지(長至)라고 불렸습니다. 또한 동지는 태양의 부활이라는 의미도 담겨 있어, 아세(亞歲) 또는 작은설로 불리기

도 하였습니다.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하기 좋은 날이라 하여,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도 불렸습니다.

 

 

 

Ι 풍속

 

 

 

당나라 역법서인 선명력에서는 과거 중국에서 동짓날을 일년의 시작인 설로 삼은 기록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선명력으로 달력을 센 적이 있어 고려 충선왕 때까지는 동짓날을 작은설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동국세시기 - 조선 후기 학자 홍석모가 우리나라 연중행사와 풍속들을 정리하여 기록하여 설명한 세시풍속지' 에 보면 "관상감에서는 임금에게 역서를 올린다. 그러면 임금은 모든 관원들에게 황색 표지를 한 황장력과 백색 표지를 한 백 장력을 반포하는데 동문지보란 네 자가 새겨진 옥새를 찍는다. 각 관서에서도 모두 분배받는 몫이 있다. 이 날을 각 관서의 아진들이 각기 친한 사람을 두루 문안하는 것이 관례다"라는 기록이 있어 이 날 모든 문무백관들에게 달력을 하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동지 아침 조정 대신들과 관리들이 왕에게 올리는 축하 인사'동지하례' 를 행했으며, 왕실의 사당인 종묘에 청어을 올렸습니다. 청어의 푸른빛이 신선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주었기 때문인데, 궁중에서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사대부들이 청어를 사당에 올렸는데, 이를 '청어천신 - 겨울과 봄에 새로 난 청어를 조상에게 올리는 의례로 주로 궁중과 양반가에서 행한 풍속'이라고 합니다.

 

 

 

민간에서는 '동지부적'이라 하여 蛇(뱀 사) 자를 써서 거꾸로 붙여 잡귀를 몰아내는 풍속이 있었습니다.

또한 엄동설한에 무병장수와 복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버선을 만들어 선물하였는데 이를 '동지헌말'이라고 합니다.

주로 집안의 며느리들이 시할머니, 시어머니에게 선물하였는데, 풍년과 다산을 기원한다는 뜻에서 '풍정' 이라고도 하였습니다. 

'용갈이'로 이듬 해의 풍년 여부를 짐작하기도 하는데요, 용갈이란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 연못의 수면이 얼어붙어 얼음 모양이 쟁기로 밭을 갈아놓은 모양을 말합니다. 그 방향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가면 풍년이요,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면 흉년이라는 속설이 있습니다.

또 동짓날이 추우면 해충이 적으며 호랑이가 많고, 풍년이 들 징조라 여겼습니다. 

예부터 동지가 되면 이웃 간의 서로 화합하고 어려운 일은 서로 마음을 열고 풀었다고 하는데요, 연말 불우이웃 돕기도 동짓날의 전통이 이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Ι 음식

 

 

 

동지 하면 떠오르는 One Pick 키워드가 바로 팥죽이죠. 이 팥죽에는 새알심이 빠질 수 없는데, 가족의 나이 수대로 넣는 풍속도 있다고 하네요. 그래서 작은 설인 동지에 팥죽을 먹어야 나이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이 전해져 오고 있습니다.

팥죽을 먹기 전 팥죽을 집안 곳곳에 뿌려 잡귀의 침입을 막는 '동지고사'를 먼저 행했습니다. 

 

그러나 동지가 음력 11월 10일 안에 들면 '애동지'라고 해서 아이들에게 나쁘다고 해서 팥죽을 쑤지 않았습니다. 팥죽 대신 시루떡을 해서 먹었다고 하네요.

또 집안에 괴질로 죽은 사람이 있어도 팥죽을 먹지 않았다고 하네요.

 

반대로 음력 11월 10일을 지나서 동지를 맞이하게 되면 '노동지'라 불렸다고 합니다. 

 

 

 

Ι 속담

 

 

 

1. 동지가 지나면 푸성귀도 새 마음 든다

 

동지가 지나면 온 세상이 새해를 맞을 준비에 들어간다는 뜻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속담입니다.

 

 

2. 동지 때 개딸기

 

도저히 얻을 수 없는 것을 바라는 마음이란 뜻입니다. 비슷한 속담으로 동짓달에 멍석딸기 찾는다, 우물에서 숭늉 찾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3. 동지섣달 해는 노루꼬리만 하다.

 

동짓 날 해가 짧음을 짧아서 뭉특한 노루꼬리에 비유한 말입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