Ι 뜻과 날씨
추분은 24절기 중 열여섯 번째 해당되는 절기로, 백로와 한로 사이에 해당되며, 시기는 양력 9월 22일 또는 9월 23일경입니다. 특히 이 날은 태양의 황경 180도의 추분점에 이르러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입니다.
"덥고 추운 것도 추분과 춘분까지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이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두 절기가 추위와 더위의 전환점이라는 인식에서 비롯된 말로, 추분이 지나면 밤이 점차 길어지기 때문에 여름이 가고 가을이 왔음을 실감하게 됩니다.
"추분이 지나면 우렛소리가 멈추고 벌레가 숨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여름에 자주 나타나는 천둥이 멎고 벌레들도 둥지를 막아 겨울을 준비한다는 말로 완연한 가을의 날씨를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Ι풍속
가을이란 가을겆이, 즉 추수(秋收)를 하는 시기입니다. 추분을 즈음하여 논밭의 곡식을 거두어들이고 목화를 따고 고추를 말리는가 하면, 겨우내 먹을 각종 나물들을 말리느라 농부들의 손길은 한숨도 쉴 틈이 없습니다.
추분 무렵이 되면 조상들은 바람을 보고 이듬해 농사를 점쳤습니다.
추분 무렵에 건조한 바람이 불면 다음 해 대풍이 들며, 바람이 건방(북서쪽)이나 손방(남동쪽)에서 불면 다음 해에 큰 바람이 몰려오고 감방(북쪾을 중심으로 한 45도 각도 안의 방향)에서 불어오면 몹시 춥고, 비가 적게 오면 길하고, 낭(물결)이 개면 흉년이라 여겼습니다.
또한 사일(社日)앞에 추분이 들면 쌀이 귀하고, 뒤에 있으면 풍년이 든다고 여겼습니다.
가을의 청명한 날씨를 일컬어 천고마비(天高馬肥), 등화가친(燈火可親) 이라는 사자성어가 있음은 널리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천고마비는 하늘은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이 익는 가을철을 말하며, 등화가친은 등불을 가까이할 만하다는 뜻으로, 서늘한 가을밤은 등불을 가까이하여 글 읽기에 좋음을 뜻합니다.
추분이 지나면 곧 찬 서리가 내리고, 곧 겨울을 향합니다.
Ι음식
추분의 대표적인 음식 바로 버섯으로, 이 때 채취된 버섯이 향과 맛이 뛰어나고, 비타민D가 굉장히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확이 시작되는 시기인만큼 햅쌀 역시 좋은 식재료로써, 함께 수확한 잡곡이나 견과류를 넣어 밥을 지어서 먹는다면
아주 맛이 좋습니다.
또한 고구마순, 깻잎, 가지 등 다양한 산나물을 수확해 말려놓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 가을의 다른 절기들
백로
처서
입추
한로
상강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