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작까야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보험의 종류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펀드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어디에 투자하는가?

 

1) 증권펀드 :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 대부분의 펀드가 여기에 속합니다.

2) MMF(Money Market Fund) : 초·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

3) 파생상품펀드 : 선물, 옵션 등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펀드

4) 부동산펀드 :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

5) 실물펀드 : 선박, 석유, 금 등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펀드

6) 재간접펀드(펀드 오브 펀드) : 다른 펀드에 투자하는 펀드

 

 

2. 주식에 투자하는 비중은 얼마나 되는가

 

1) 주식형 펀드 : 주식에 최소한 60% 이상 투자하는 펀드

2) 혼합형 펀드 : 주식에 50% 이상 투자하면 주식혼합형 펀드, 채권에 50% 이상 투자하면 채권혼합형 펀드, 주식에 50%,                       채권에 50% 투자하면 주식혼합형으로 분류한다.

3) 채권형 펀드 : 회사채, 국채 같은 채권에만 투자하는 펀드

 

 

 

 

 

 

 

3. 주식에 투자하는 성향

 

1) 성장주 펀드 : 매출 성장률 20% 이상으로 기대되는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

2) 가치주펀드 : 기업의 가치에 비해 저평가된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

3) 배당주펀드 : 배당금을 많이 주는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

4) 인덱스펀드 :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투자 방식을 채택하는 펀드

5) 대형주 펀드 : 증권시장 종목 중 시가총액으로 기업의 규모를 따졌을 때 100위 이내에 속하는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

6) 중소형주 펀드  : 증권시장 시가총액 중 기업의 규모를 따졌을 때 중하위권에 속하는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

 

 

4. 적립 방식

 

1) 적립식 펀드 : 매월 일정 금액을 적금 붓듯 투자하는 펀드

2) 임의식 펀드 : 투자 기간이나 금액을 따로 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입출금 할 수 있는 펀드

3) 거치식 펀드 : 일정 금액을 일정 기간 동안 넣어주는 펀드. 주로 목돈을 한꺼번에 넣을 때 가입한다.

4) 목표식 펀드 : 목표로 하는 금액만 정하고 일정 기간 동안 수시로 저축할 수 있는 펀드

 

 

5. 투자 지역

 

1) 국내 펀드 : 국내의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

2) 해외펀드 : 해외의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

 

 

6. 펀드 자금 모으는 방식

 

1) 공모형 펀드 :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펀드

2) 사모형펀드 : 소수의 특정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펀드

 

 

 

 

 

 

7.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방식

 

1) 개방형 펀드 : 펀드에 투자한 자금을 회수하거나 추가로 투자하는 것이 자유로운 펀드

2) 폐쇄형 펀드 : 투자 기간 중 중도 해지를 청구할 수 없으며 추가 투자도 할 수 없는 펀드

 

 

8. 환매수수료 부과시점

 

1) 단기형 펀드 : 가입 후 3개월 미만인 경우 환매수수료가 부과되는 펀드

2) 중기형 펀드 : 가입 후 6개월 미만인 경우 환매수수료가 부과되는 펀드

3) 장기형 펀드 : 가입 후 1년 미만인 경우 환매수수료가 부과되는 펀드

 

 

9. 수수료 수취 시점

 

1) 선취수수료 방식 : 일정 비율을 미리 떼어가고 나머지 금액으로 운용하는 펀드

2) 후취수수료 방식 : 투자 금액이 투입될 때는 별도의 수수료가 없으나 환매할 때는 수수료가 부과되는 펀드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