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작까야입니다.
저번 시간에 펀드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그중에서 직장인에게 맞는 펀드 상품인 적립식 펀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직장인들은 아무래도 하루 종일 업무에 매달리다 보니 여러 상품들을 살펴볼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데요,
직립식 펀드는 꾸준히만 투자를 한다면 매월 수익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장점 1 - 장기투자가 가능!!
한 달에 20만 원, 10년간 적립식으로 투자를 한다고 했을 때 1년에 240만 원, 10년에 2,400만 원을 투자하게 되는 겁니다. 여기에 수익률을 10%로 가정했을 대 240만 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10년을 넣으면 그중 2년 치 원금이 다시 생기는 셈이죠. 이렇듯이 꾸준하게 투자를 하면 쏠쏠한 수익과 돈 버는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장점 2 - 분산투자도 가능!!
적립식 펀드는 코스트 애버리징 효과(일정 금액을 장기에 걸쳐 특정 주식에 정기적으로 투자해 나가는 장기 투자 방법)
를 톡톡히 볼 수 있습니다. 매월 월급 중 일부를 일정하게 펀드에 넣는 것은 자연스럽게 시간의 분산투자를 가능하게 해 줍니다. 오늘은 주가가 좋으니 조금 더 넣거나, 하락세가 예상되니 당분간은 쉬자 는 식의 고민을 계속하게 되면
삶이 더 피곤해집니다. 그저 고민하지 말고 분산투자를 하면 위험도 줄이고 수익도 더 높일 수 있습니다.
장점 3 - 재무설계에도 딱 맞는다!!
재무설계의 가장 기본은 필요한 시기, 필요한 금액을 가늠해보고 계획을 세우는 거인데, 직장인의 적립식 펀드 투자에는 재무설계와도 잘 어울립니다. 수익률은 잠시 접어두더라도 원금 기준으로 대략 결과를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자영업자들은 매월 매출이 들쑥날쑥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꾸준히 투자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월급이
나오는 직장인들은 적립식 투자가 주는 효과를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것에 장점만 존재할 수는 없는 법이죠, 적립식 펀드는 장점만 있는 게 아니라 단점도 존재하는데요,
단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단점 1 -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다!!
적립식 펀드는 주가지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가지수가 높을 때는 이득을 보지만 주가지수가 하락하게 되면
손실을 보게 되어 원금 손실의 리스크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투자상품이 원금 손실에 대한 각오는 어느 정도
하기 때문에 큰 문제점은 아닌 거 같네요.
단점 2- 환급성, 유동성이 낮다
적립식 펀드는 초기 사업비가 좀 크게 발생됩니다. 그래서 가입 초기 해지할 대는 원금손실이 발생되고요, 또한 조기 해지를 할 때에는 적립금액과 해약 환급금 간 차이 발생으로 환급금이 저조하고, 단기간 유동성 확보가 힘듭니다.
자금이 크게 많지 않으니깐요. 또한 자연보험료 적용으로 인해 고연령일 때 가입이 되면 수익률이 낮습니다.
자연보험료란 통계적으로 연령별 사망률에 기초를 두고 이 사망률에 근거하여 보험료를 산정하는 방식입니다.
적립식 펀드에선 이게 적용이 된다는 것이죠.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