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연말 발행되는 '트렌드 코리아' 책 아시죠? '트렌드 코리아 2021'에서는 2021년도 트렌드로 COWBOY HERO라는 키워드를 정했는데요, 내년이 소의 해다 보니 이에 맞춰서 키워드를 만들어내지 않았나 싶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키워드를 선정한 이유는 광우(狂牛)처럼 날뛰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꼭 잡았으면 하는 소망을 담았으며,

HERO는 올 한 해 코로나 예방을 위해서 헌신적으로 일하신 의료진분들, 자원봉사하신 시민분들 같은 영웅들을 지칭한다고 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각각의 내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Ι C : Coming of 'V-nomics' 

 

첫 번째는 브이노믹스입니다. 올 한 해 코로나로 인해 모든 것이 참 많이 바뀌었습니다. 언택트 시대가 앞당겨 도래했고, 소비패턴, 경제, 관광, 생활문화 등 전염병 하나가 사회의 패러다임을 유발하고 전 세계적인 큰 영향을 끼쳤는데요,

비즈니스적인 면에서도 새로운 비즈니스를 찾기 위해 많은 기업들과 개인 사업자들이 노력과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브이노믹스에서 V는 바이러스를 의미합니다. 코로나 19라는 건 다들 아시겠죠?

바이러스가 바꿔놓은, 그리고 바꾸게 될 경제라는 뜻의 브이 노믹스로 인해 어떠한 산업이 부각되고 새롭게 탄생될지

관심 있게 지켜봐야 될 거 같습니다.

 

Ι O : Omni - layered Homes 

 

 

두 번째는 레이어드 홈인데요, 집의 공간과 기능이 여러 개 층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 포토샵의 레이어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요, Omni라는 뜻은 모든 것, 모든 방식을 뜻합니다. 미래 주택의 주거 공간에 대한 개념이 바뀐다는 뜻인 거 같습니다. 

최근 집이 보여주는 층위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번째, 기본 레이어는 기존에 집이 수행했는 기능을 심화하는 층입니다. 집의 기본적인 기능이 강화되면서 위생가전, 기구, 인테리어 산업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거 같네요.

두 번째, 응용 레이어는 그동안 집이 행하지 않았던 일을 집에서 해결하는 층입니다. 운동 등의 집에서 학습·근무·쇼핑·관람·운동 등 기존 집에서 행하지 않았던 기능이 추가되면서 집의 역할이 다기능화되는 현상입니다.

세 번째, 확장 레이어는 집의 기능이 집 안에서만 이루어지지 않고 집 근처, 인근 동네로 확장되며 상호작용 하는 

현상을 지칭합니다. 슬리퍼를 신고 다닐 수 있는 집 근처, 즉 '슬세권'으로 경제활동 영역이 강화되는 현상을 말한다고 하네요.

 

 

Ι W : We are the money-friends generation

 

세 번째는 자본주의 키즈입니다. 돈과 소비에 편견이 없는 새로운 소비자라는 뜻인데요, 자신의 욕망에 솔직하여 소비로부터 행복을 적극적으로 찾는 소비자들입니다. 광고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PPL 또한 관대한 성향을 나타내고 있는데요,

본인의 행복을 위하여 때로는 충동적으로 소비하는 경향이 있는 이들은 브이노믹스와 함께 미래를 이끌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Ι B : Best we pivot

 

네 번째 키워드는 거침없이 피보팅입니다. 피봇은 농구 용어로써, 한쪽 발은 고정시킨 채 다른 발을 왔다 갔다하는 기술입니다. '축을 옮긴다'는 개념인데요, 최근에는 사업 전환을 뜻하는 경제 용어로 자주 쓰인다고 하네요.

제품·전략·마케팅 등 경영 모든 측면에서 다양한 가설을 수정하고 끊임없이 테스트 하면서 방향성을 상시적으로

수정해 나가는 겁니다. 아무래도 다변화되고 미래의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현대 사회에 대응하는 전략이라고 생각되네요.

 

 

Ι O : On this rollercoaster life

 

다섯 번째 키워드는 롤코라이프입니다. 스릴감을 만끽할 수 있는 롤러코스터처럼, 짧은 시간 내 짜릿한 재미를 즐기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제시하고 있는데요, 롤코 라이프는 이제 그때그때 발맞춰 대응해야 하는 시장의 새로운 전략이 되었습니다. 고객의 요구와 변화도 요즘 엄청 빨리빨리 바뀌고 있으니깐요 ~

 

Ι Y : Your dauly sporty life

 

MZ 세대(1980년대 초 ~ 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 ~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 통칭)는 코로나 뿐만 아니라 건강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요, 때문에 오늘 하루 운동(오하운)이라는 키워드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요즘 헬스, 필라테스 콘텐츠로 활동하고 있는 유투버나 인플루언서가 엄청 많은데요, 건강에도 관심을 많이 쏟고 있는 MZ 세대들의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저도 일주일에 3~4번 헬스장 가서 운동을 하고 있어요.

이제 운동은 일상이 되었고,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중 전반적인 영역을 크게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Ι H : Heading to the resell market

 

일곱번 째 키워드는 N차 신상입니다. 중고품을 활발하게 거래하고 사용하고 있는 트렌드를 반영하는 것인데요,

중고나라, 당근 마켓 등 중고시장의 영역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중고거래는 이제 취향의 공유와 새로운 재테크 

수단으로 자리 잡았죠. 저 또한 책 거래를 통해 재테크로써의 재미를 쏠쏠하게 활용한 적 있는데요,

중고품을 골동품이 아닌 하나의 자산이나 더 높은 가격으로 되팔 수 있는 투자 상품으로 인식이 되었다는 점에서

중고품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볼 수 있습니다.

 

 

 

 

Ι E : Everyone matters in the 'CX universe'

 

고객 경험을 CX(Customer eXperience)라고 합니다. CX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인지하는 순간부터 구매·수리·폐기·재구매에 이르기까지 전체 과정에서 고객이 느끼는 경험 과정서를 일컫는데요, 이러한 고객 경험의 총체적 관리를 통해 특정 브랜드의 세계관을 공유하는 것을 CX 유니버스라고합니다.

 

 

 

Ι R : 'REAL ME' : Searching for my real label

 

아홉 번째 키워드는 레이블링 게임입니다. 이는 자신에게 스스로를 규정하는 딱지를 붙인다는 의미로서 , 나에 대해 알아가고자 하는 현대인의 성향을 엿볼 수 있습니다. MBTI, 심리테스트나 요즘 자존감에 관한 책들이 스테디셀러로써 많은 독자들에게 읽히는 추세를 보면 알 수 있는 대목인데요, 급변하는 사회와 팬데믹 등 여러 불안감이 가중되면서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Ι O : 'On tack' , 'Untact' with a human touch

 

마지막 키워드는 휴먼터치입니다. 어떻게 하면 조직관리와 경영에서 최대한 사람의 감성으로 다가갈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트렌드입니다. 

점점 기기화가 보편화되어가는 시점에서 감성마저 메말라가는 현실인데요, SNS가 성행하는 지금 디지털 셀링에서 소셜 셀링으로 옮겨가는 시점에서 인간의 감성을 최대한 자극하는 순간을 만드는 콘텐츠가 이 시대 진정한 강자로 떠오를 거 같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