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작까야입니다.

이번에는 통화정책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시장에 돈이 없으면 돈을 풀고 돈이 넘쳐나면 돈을 거두는 이러한 패턴을 반복하여 통화량을 적절히 조절하는데요,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3가지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공개시장조작 정책

한국은행이 공개시장에서 금융기관들을 상대로 유가증권(국공채 등)을 사고팔아서 통화나 금리를 조절하고 유동성을

관리하는 정책입니다. 

여기서 공개시장이라 함은 누구나 금융상품을 거래하는 시장을 말합니다.일반적으로 금융기관들은 한국은행으로부터 채권을 매입하여 보유하고 있다가, 이걸 팔아서 예금을 확보하여 운용을합니다.따라서 만일 시장에 자금이 부족할 때 한국은행이 이러한 채권을 매입해주면 새로운 자금이 금융기관에 풀리는 효과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시장에 자금이 남아돌 때는 한국은행이 과거 매입해놓았던 채권을 금융기관에 다시 팔면 그만큼 자금이 한국은행으로 빨려 들어가므로 시장의 자금을 줄일 수가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시장에 돈이 없으면 한국은행이 돈을 지불하여 채권을 사므로 시장에 돈이 생기게 되고, 시장에 돈이 많으면 한국은행이 이전에 샀던 채권을 금융기관에 돈 받고 팝니다. 이런 식으로 시장의 통화량을 조절하는 겁니다.

 

이 정책에서 사용되는 유가증권의 종류는 자금조절이 장기냐 단기냐에 따라 다음으로 분류됩니다.

 

장기 - 국채, 정부보증채, 토지개발채권

단기 - RP(환매조건부 증권)

 

 

 

 

 

2. 지급준비 정책

 

은행의 지급준비금에 대한 지급준비율을 변경하여 통화를 조절하여 시장 전체의 통화량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지급준비금과 지급준비율에 대해서 설명드릴게요 ~

 

지급준비금 - 시중은행들이 현금이 부족하여 금융거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에 대비하여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은행들로부터 강제적으로 맡아두게 하는 일정 금액의 돈

지급준비율 - 시중은행들이 중앙은행에게 납부해야 할 지급준비금에 대한 일정 비율

 

지급준비제도가 있는 건 궁극적으로 금융 시장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어느 한 은행이 돈이 없어서 현금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 뱅크런(은행이 예금지급 불능 상태가 되는 것)이 발생하게 되고 금리도 뛰게 되어 금융시장이 혼란스러워지기 때문이죠.

 

다시 말해서 지급준비 정책은 지급준비율을 조절하여 지급준비금을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하여 통화량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입니다. 지급준비율이 높으면 시중은행들은 더 많은 돈을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므로 시중에 돈은 줄어들고 반대로 진급 준비율을 낮추면 상대적으로 적은 돈을 예치하므로 시중의 돈이 늘어난다는 것이죠.

 

하지만 지급준비율을 변경시키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측을 잘못하여 지급준비율을 너무 많이 변경했다가

통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금융시장에 엄청난 충격을 줄 수도 있기 때문이죠.

 

 

 

 

 

3. 대출 정책

 

한국은행도 금융기관에게 대출을 해 줍니다. 이를 통해 시중의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인데요, 어음을 할인하거나 매입하는 방식으로 대출을 해 주는 것입니다.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으로부터 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어음을 할인, 매입하고 금융기관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어음을 할인해서 기업에 자금을 공급합니다. 이렇게 금융기관이 보유하게 된 어음을 중앙은행이 다시 할인해서 자금ㅇ르 공금 했기 때문에 대출 정책을 재할인제도라고도 부릅니다.

 

여기서 할인이라 함은 선이자를 차감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ㄱ기업'이 10억짜리 어음을 대금으로 받았다고 가정합시다. 만기는 6개월 이후지만 당장 돈이 필요할 때 은행에 찾아가 6개월 미리 돈을 달라고 요청할 때,

은행에서는 해당 어음의 위험도나 기간 이자를 생각해 적정 이율만큼 미리 차감하고 돈을 지급합니다.

 

하지만 시장에 돈이 부족해서 은행에서 어음을 할인해서 내어줄 돈이 없어진다면 기업들은 자금을 확보하는 데 차질이 생길 것이고 유동성 위기를 겪을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 한국은행이 보유하고 있던 어음을 재할인방식으로 대출해서 돈을 공급하게 되면 은행은 그 돈으로 다시 기업의 어음을 할인하게 될 것이고 마침내 시장에 돈이 돌게 되는 시스템입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